Monthly Archives :

2월 2019

삼성에게 블록체인은 신이 내린 축복이다

삼성에게 블록체인은 신이 내린 축복이다 940 788 info

[조산구 칼럼] 새 ‘인터넷 강자’로 떠오를수도

(지디넷코리아=조산구 위홈대표)삼성이 차세대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10에 암호화폐 지갑을 탑재한다. 이 소식은 블록체인 업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대중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삼성에게도 블록체인은 상당히 의미 있는 기술이다.

거시적으로 보면 블록체인은 ‘새로운 인터넷’이다. 현재 인터넷의 가장 큰 문제인 소수 플랫폼에 의한 독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이라는 수식이 붙는다.

인터넷강자들은 인터넷을 자신들의 인트라넷으로 만들었다. 블록체인은 이런 인터넷 강자들을 견제 또는 와해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기술로 평가된다. GAFA(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가 블록체인을 경계하는 이유이다.

삼성은 IT 선도기업이지만,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선 힘을 못 써왔다. 삼성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엄청난 수의 사용자 기반을 갖고 있음에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블록체인은 기존 인터넷 세계의 게임의 룰을 바꿀 ‘게임체인저’다. 삼성이 블록체인을 잘 만 활용한다면 새로운 인터넷 강자가 될 수 있다. 갤럭시S10에 암호화폐 지갑을 기본 탑재한 것을 보면 이미 삼성은 새로운 게임을 시작한 것 같다.

나는 삼성에게 블록체인은 신이 내린 축복이라고 본다. 이유는 세 가지이다.

첫 번째, 블록체인으로 기존 사업의 카니발리제이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GAFA가 블록체인에 적극적일 수 없는 것은 자기들의 핵심사업을 블록체인이 와해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론적이지만 블록체인 기술이 발달하고 보급될수록 중앙집중플랫폼을 대체하는 탈중앙화 시대가 빨리 올 것이다. 즉, GAFA가 이런 미래를 예상하면서도 움직일 수 없는 반면, 삼성은 공격적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스마트폰이 블록체인이 추구하는 분산화를 실현할 최적의 디바이스이고, 삼성은 이 분야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먼저, 블록체인은 결국 중앙플랫폼(중개자)를 들어내고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P2P 네트워크다. 궁극적으로 그렇게 진화할 것이다. 스마트폰은 세상과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관문이고, 결국 개인과 개인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삼성은 이미 갤럭시S10에서 시도하는 것처럼 스마트폰에 블록체인 접근을 위한 최고의 월렛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이 활성화되면서 탈중앙화에 의해 GAFA는 점차 힘을 잃어가는 반면 삼성의 존재감은 더욱 커질 것이다. 블록체인이 신뢰와 탈중앙화의 시대적 흐름이라면 삼성은 순풍을 맞이한 것이다.

또, 스마트폰의 성능은 앞으로 더욱 빠르게 좋아지고 있고, 분산된 개인에게 자력을 부여할 수 있는 도구다. 스마트폰은 흩어져 있고 글로벌로 연결된 엄청난 지능을 갖는 슈퍼컴퓨터다. 블록체인의 노드가 될 수도 있고 코인마이닝으로 돈을 벌 수도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은 블록체인의 에너지원이기도한 데이터의 샘이기도 하다.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데이타를 모아 부가가치를 만들고 공평하게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삼성은 자사의 스마트폰들만을 잘 연결해도 블록체인 시대 최고의 기업이 될 수 있다. 단, 삼성이 확실한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의 철학을 제대로 수용해야한다. 처음부터 기능뿐만 아니라 철학적인 경쟁우위를 갖고가야 한다. 궁극적으로 기존 사회구조에 기반한 삼성의 존재 자체가 블록체인의 철학과 상충될 때 이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성찰해 볼 필요가 있다.

인터넷은 모든 기술과 혁신의 결정체이다. 블록체인과 4차산업혁명으로 불리는 다양한 혁신기술이 결합해, 인터넷이 진화하고 있다. 기존 인터넷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점에서 인터넷제곱(인터넷^2, 인터넷스퀘어드, Internet Squared)으로 부를 수 있다.

삼성이 기존 인터넷에 비해 100배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인터넷제곱시대에 참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하기를 기대해 본다.

조산구 위홈대표(jo@wehome.me)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내국인 숙박’ 불법화는 국내 기업 역차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내국인 숙박’ 불법화는 국내 기업 역차별 940 788 info

공유숙박, 도시지역 내국인도 허용 – 찬성
조산구 위홈 대표 한국공유경제협회장

● 외국인만 허용은 글로벌 공유경제 흐름에 어긋나

● 관광산업 경쟁력 강화 차원서 활성화 정책 필요

● 결국엔 시장 커져 기존 숙박업계에도 이득 될것

 

정부가 도시지역에서 내국인에게도 ‘에어비앤비’ 같은 공유숙박 영업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찬반 양론이 거세다.

정부는 지난달 9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5차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올 1·4분기 중 관광진흥법을 개정해 도시에서도 연간 180일 이내에서 내국인에게 공유숙박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현재 외국인을 상대로 한 공유숙박은 모든 지역에서 가능하나 내국인 대상 영업이 도시지역에서는 금지돼 있다. 정부가 영업기간을 제한하고 사업자의 범죄전력을 따져 공유숙박 등록을 제한하는 방안도 마련 중이지만 숙박업계는 공유숙박 관련법 개정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공유숙박 허용확대 찬성 측은 내국인 숙박 불법화가 오히려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 효과를 초래하고 세계적인 공유숙박 확산 흐름에도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반대 측은 이미 숙박 과잉공급인 상태에서 공유숙박을 확대 허용하면 기존 숙박산업이 고사하고 이에 따른 실업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반박한다. 양측의 견해를 싣는다.

공유숙박은 승차공유와 함께 공유경제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 모델이다. 많은 논란 속에서도 공유경제가 급부상하고 공유숙박에 대한 인기가 날로 커지는 것은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개인 간의 유휴자원 공유로 시작된 공유경제는 공유 주체와 대상이 확대됨과 동시에 개개인이 경제의 중심이 되는 시민 주도의 경제 및 사회현상으로 일반화되고 있다. 소유해야만 누리던 시대에서 공유를 통해 원할 때 원하는 만큼 누리는 공유로의 세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제러미 리프킨은 현재의 소유 중심 경제가 50년 이내에 공유 중심 경제로 전환할 것을 예견할 정도로 공유경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

공유경제의 대표 모델인 공유숙박 시장의 급성장은 글로벌 선도기업인 에어비앤비를 통해 제공되는 500만개가 넘는 공유숙박 객실 수로 설명할 수 있다. 에어비앤비가 창업 10년 만에 이룬 성과로서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세계 선도 호텔체인인 힐턴·인터컨티넨털·메리엇 등의 전체 객실 수가 300만개 이내인 점을 고려하면 대단히 빠른 성장세다.

공유숙박이 여행객들에게 인기를 끄는 것은 다양한 선택, 경제적인 가격, 여행지 문화를 가까이서 접할 수 있는 장점 때문이다. 호스트 입장에서는 빈방을 공유해 돈도 벌고 친구도 사귈 수 있어 매력적이다. 공유숙박은 잘 모르는 사람 간에 비정형화된 숙소를 거래하고 때로는 같은 집에 머무는 것으로 초기에는 모델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첨단기술을 활용한 플랫폼이 호스트와 여행객을 신뢰로 연결해 공유숙박이 가능해졌다. 새로운 고객가치와 신뢰 플랫폼이 결합해 공유숙박은 그 자체 시장으로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체험여행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여행객의 가치가 대두되는 것은 여행 트렌드가 단체여행에서 개별여행으로의 발전을 거처 이제 동네여행으로 바뀐 데 기인한다. 즉 공유숙박을 단순히 새로운 숙박 모델의 추가가 아닌 여행과 관광산업의 큰 변화라는 측면에서 해석해야 한다. 관광산업의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역문화를 동네에서 즐길 수 있는 공유숙박은 필수적인 요소다. 궁극적으로 관광 활성화는 기존 숙박업계나 공유숙박이나 모두에 득이 되는 플러스게임이다. 다만 시장 확대에는 시간이 필요한 만큼 공유숙박 도입 초기에 시장잠식으로 어려워질 수 있는 소규모 대체숙박 사업자에 대한 사회적 지원책이 필요하다.

공유숙박은 가야 할 길이다. 관광 활성화 측면에서 공유숙박의 확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2011년 제정된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은 세계적으로도 빠르게 제정된 공유숙박 관련 제도였다. 하지만 호스트 등록요건이 까다롭고 외국인 여행객만 숙박할 수 있다는 제약조건으로 취지와 달리 전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세계적인 공유숙박 시장 확대 흐름에도 맞지 않고 내국인 숙박을 불법화해 국내 기업과 글로벌 기업과의 역차별 측면에서도, 실제 법 집행의 어려움 등에서도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필자가 2012년부터 코자자라는 공유숙박 플랫폼 사업을 해오면서 현장에서 피부로 느낀 내용이다.

공유숙박 활성화를 위해 지난 7년간 국내 공유숙박을 대표해 민간, 지자체 및 정부기관, 단체들과 수십번의 미팅과 협의를 거쳤지만 전혀 진척되지 않아 매우 안타까웠다. 지난달 초 정부가 발표한 공유경제 활성화 계획 중 공유숙박에 대한 내용은 늦었지만 크게 기대되는 것이다. 정부의 공유숙박 활성화 방안으로 등록요건 완화, 180일 한정 허용, 내국인 숙박 합법화 및 500만원까지의 세금 면제가 주목할 점이다. 내국인 숙박 허용은 관광산업 생태계에서 내외국인을 구분할 수 없는 특성과 국내 사업자의 차별화 기회 박탈, 역차별 문제 및 현실적으로 단속이 힘들다는 면에서 볼 때 매우 합리적인 결정이다.

공유숙박 활성화 정책은 국가 차원의 관광 및 숙박업 전체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모텔·게스트하우스·한옥스테이 등 기존 호텔 대체 숙박사업자들을 위한 지원책, 기업형 불법숙박 단속 및 불필요한 규제 철폐 등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 이를 통해 공유숙박 활성화가 사회적 합의를 넘어 전체 산업의 발전과 시장 확대의 계기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공유경제는 미국·유럽뿐 아니라 중국·일본 등 주변국에 비해 전략·제도·사업·서비스 등 모든 면에서 뒤처져 있다. 공유숙박이 사회적 합의 도출과 산업 발전 및 빠른 활성화 모델로 성공해 한국 공유경제의 견인차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B83BAUE
원문기사 : https://www.sedaily.com/NewsView/1VFB83BAUE